Statistical dat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how that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has been launched in 116 4-year universities throughout China as of December 2014, and additionally, Department of ...
Statistical dat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how that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has been launched in 116 4-year universities throughout China as of December 2014, and additionally, Department of Applied Korean Language was set up in 152 colleges nationwide in China.
Curriculum of Korean studies at universities in China consist of fundamental and basic language subjects, such as perusal of Korean language, conversation, grammar, listening comprehension, writing, etc., and furthermore, subjects related to Korean culture are designated essential subjects which attract attention of students(learners).
In this way, Korean culture is an indispensable subj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presents a subject that can help boost motivation and interes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refore comprise important part i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However, culture-independent educational materials can be rarely found which are used in Korean culture class, although Korean culture class has been opened in most universities.
Korean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which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hus far, do not satisfy requirements of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ue to problems that Korean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neither fully consider demand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earners) nor reflect reality of current Korean social culture.
Development of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suited to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s very urgent, given the increasing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universities in China. Thus, this study looked into current cultural education with a focus on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being used in universities in China, and based on results of analysis, presents the measures for development of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This has the following structure and contents:
Chapter 1 presents objectives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reviews preceding studies based on three categories, i.e., cultural education, development of Korean linguistic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and discussion related to Korean linguistic cultural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in China.
Chapter 2 relates to theory of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development and looks into principle and procedures for educational materials development in existing studies, and based on suggested points, presents principle and procedures for development of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and examines the type and function of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covered by existing discussions.
Chapter 3 relates to analysis of current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being used in universities in China, defines criteria for sele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subject to analysis, along with analytical tools and standards, while examining the analysis of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es and presenting results of related analysis.
Chapter 4 sets forth measures for improving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results of analysis and presents measures such as selec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investigation into demands, development of visual materials for increasing ease of learning, and configuration of education materials for inducing active involvement of students.
Finally, Chapter 5 presents summary of analysis on educational materials and discussion related to this study.
중국 교육부의 통계에 따르면 2014년 12월 기준 전국 4년제 대학교 중 116개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를 개설하고 있으며, 152개의 전문대학교에서 응용한국어학과를 개설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
중국 교육부의 통계에 따르면 2014년 12월 기준 전국 4년제 대학교 중 116개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를 개설하고 있으며, 152개의 전문대학교에서 응용한국어학과를 개설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중국내 대학의 한국학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한국어 정독, 회화, 문법, 듣기, 쓰기 등 기본적인 기초 언어 과목이 설정돼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와 관련된 수업도 필수 과목으로 설정되었는데, 학습자들이 관심을 보이는 교과목이다. 이처럼 한국 문화는 한국어 교육에서 빼놓을 수 없는 교과목이며,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과목으로 한국어 및 한국학과 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다수 대학에서 한국문화 수업의 개설의 상황과는 다르게 한국문화 수업에서 사용되는 문화 독립용 교재는 찾기 어렵다. 또한 지금까지 개발되어 사용 중인 한국 문화용 교재는 학습자의 요구 및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거나 현 한국 사회 문화의 실제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로 인해 한국학과 전공자들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국 내 대학에서 한국학과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 추세를 고려해 보면, 학습자 특성에 맞는 문화교재의 개발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선 중국 내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화 교재를 중심으로 문화 교육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문화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논문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문화 교육 관련, 한국어 문화 교재 개발 관련,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화 교육 및 문화 교재 개발 관련 논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문화 교육용 교재 개발 이론으로 기존 연구에서의 교재 개발 원리와 절차를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통해 문화 교육용 교재 개발의 원리와 절차를 제시하고 기존 논의에서의 문화 교육용 교재의 유형과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중국 내 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현행 문화 교육용 교재 분석으로서 분석 대상 교재의 선정 기준을 정하고 분석틀과 기준을 정하고 교재 분석을 외적 구성과 내적 구성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 그에 따른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 교육용 교재의 개선 방안으로 요구 조사를 통한 교육 목표 및 교육 내용의 선정, 학습 수월성 제고를 위한 시각 자료의 개발,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위한 과제의 구성 등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앞선 교재 분석 및 연구에 따른 논의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