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일본에서 취미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일반목적 성인 학습자들을 위해 일반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현지 출판 한국어 초급 교재를 분석 후, 교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
본 논문은 일본에서 취미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일반목적 성인 학습자들을 위해 일반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현지 출판 한국어 초급 교재를 분석 후, 교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은 88서울올림픽 이후 1990년대 중반까지 10년 정도 사이에 외국어교육으로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1984년부터 NHK와 라디오에서 한국어강좌가 시작되었으며 88서울올림픽을 거치면서 일반인에게 널리 한국어가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1998년 대중문화개방 이후 다양한 문화 교류와 2002년 한일월드컵의 개최, 그리고 2000년대 초 한류 열풍은 한국문화와 한국어교육에 더욱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일본에서는 지속적으로 한국문화, 한국어교육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며 이후 사회문화적 변화가 한국어 학습자를 증가시켰고 한국어교육 역시 양적·질적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대학이나 고등학교 등과 같은 정규교육기관의 한국어교육과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일반교육기관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교육 및 한국어 교재에 대한 논의는 아직까지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 내 일반교육기관에서 한국인 교사들이 주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현지 출판 한국어 초급 교재의 사용빈도를 조사하고 그 중 3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학습 대상이 취미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일반인 성인이라는 점에 초점을 두고 한국어 초급 교재의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발전 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2장에서는 외국어 교수법과 한국어 교육과정, 교수요목, 한국어 교재의 교수요목을 비교하여 한국어 교재 분석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일본 내 정규교육기관의 한국어교육과 한국어 교재 현황, 일반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는 기관의 자료를 조사하여 정리하고 한국어 교재 사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일반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식·요구조사를 실시하여 교사들의 한국어 초급 교재 사용 현황과 초급 교재의 장·단점 및 영역별(문법, 어휘, 발음, 문화)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일본 현지 출판 한국어 초급 교재의 구성면(구성원리, 교육목표, 교수요목)과 내용면(주제, 문법, 어휘, 발음, 문화)을 분석하고 결과를 정리하였다.
6장에서는 교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지적하고 4장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영역별 예시와 함께 여섯 부분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교재는 취미로 배우고자 하는 일반목적 성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 학습목표와 교수요목이 명시되어야 한다.
둘째, 주제는 일본과 한국 상황을 포함하며, 일본인과 대화 설정에서는 문화차이에 의한 이질감이 들지 않도록 내용 구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문법은 문법 항목의 제시양을 줄이며, 설명에서 문법 용어 통일, 사용빈도와 오류빈도가 높은 연결어미, 조사를 포함시킨다.
넷째, 어휘는 새어휘가 반복되는 쉬운 예시문을 줄이고, 본문 내용의 담화 맥락 상황에서 언어의 사용 차이를 일본어로 추가 설명한다.
다섯째, 발음은 설명을 통일하고 본문 어휘의 실제 발음과 규칙을 추가한다.
여섯째, 문화는 영역을 넓히고, 교재의 주제에 일상문화를 다양하게 포함한다.
본 연구는 일본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인 교사들이 현지 출판 한국어 초급 교재를 사용하면서 인식하는 문제점을 한국인 교사의 입장에서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일반교육기관에서 주교재로 사용하는 현지 출판 한국어 초급 교재의 분석을 통하여 교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초급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