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education plan of euphemism for Chinese leaners of Korean language.
In spite of many studies on euphemism, there are little ones in terms of education. The reason of this is that the euphemism in not l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education plan of euphemism for Chinese leaners of Korean language.
In spite of many studies on euphemism, there are little ones in terms of education. The reason of this is that the euphemism in not limited to specific expressions, but is embodied depending on contexts, speakers' intentions and usage expression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ing materials used in 4 universities: Sogang, Seoul, Yonsei, Ewha university, in order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under which current Korean education institutes teach by each speech acts in Korea, by categorizing demand, recommendation, orders, rejection and proposition with euphemism embodied through indirect speech acts, and the euphemism appearing in speech acts of them was investiga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expressions occurring most often in demand speech acts: ‘-아/어 주다’; in recommendation ones: ‘-(으)ㄹ까(요)?’ and ‘-(으)ㄹ래(요)?’; in rejection ones: ‘-(으)ㄹ 것 같다’; in orders ones: ‘‘-(으)ㄹ까(요)?’; in proposition ones: ‘어때(요)?’.
The subjects of the next questionnaire were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did not properly use the euphemism or commit fallacies more often than Korean native speakers did. From the reexamination of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ere not able to understand it or even if they knew its expressions, Chinese learners did not use them well because they could not find appropriate expressions in speaking in euphemism. In the questionnaire, Chinese learners were asked to write two answers in both Korean and Chinese, therefore, they properly spoke Chinese in euphemism but did not for Korean, suggesting the necessity of euphemism education. In this study, Chinese learners did not exactly answer most often in the rejection speech act among 5 indirect ones of euphemism.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education plan around the rejection speech act, ‘-(으)ㄹ 것 같다’ whose frequency was highest in the analysis of textbooks, implemented in chapter 3.
In chapter 5, the education plan in chapter 4 was assigned into an experiment class and the other plan of Q university in China into a comparison class, and then each 20 student in both classes were tested. The findings proved that subjects in experiment class were superior to those in comparison class, and explained that explicit teaching method was effective in the education of euphemism.
Although there seems to be limits for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because the analysis of adequate teaching materials and survey of various learners were not conducted, it is expected that they can feebly contribute to the euphemism instruction of Chinese learners in the future Korean education.
본 논문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완곡어법의 교육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완곡어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교육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본 논문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완곡어법의 교육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완곡어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교육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미미한 현상이다. 이는 완곡어법은 특정된 표현으로 한정된 것이 아니며 상황에 따라, 화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 표현에 따라 달리 실현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간접화행을 통해 실현하는 완곡어법으로 요청, 청유, 명령, 거절, 제안으로 분류하여 각 화행별로 현재 한국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현황을 살펴보고자 서강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 네 개 대학교의 교재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요청, 청유, 명령, 거절, 제안의 화행에서 나타나는 완곡어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요청 화행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표현은 ‘-아/어 주다’이며, 청유 화행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표현은 ‘-(으)ㄹ까(요)?’와 ‘-(으)ㄹ래(요)?’이며, 거절 화행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표현으로는 ‘-(으)ㄹ 것 같다’이고, 명령 화행에서는 ‘-(으)ㄹ까(요)?’, 제안 화행에서는 ‘어때(요)?’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다음 설문조사로서 한국인 모어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는데 한국인 모어화자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완곡어법을 잘 사용하지 못하거나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다시 재조사한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은 완곡어법에 대해 잘 알지 못했고 혹은 그 표현에 대해 알고는 있지만 완곡하게 발화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적절한 표현을 찾지 못하여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설문조사에서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한국어와 중국어 두 가지 답안을 적게 하였는데 중국인 학습자들은 중국어로서는 완곡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발화를 한국어로서는 발화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완곡어법의 교육의 필요성을 설명해준다. 또한 본고에서 완곡어법을 다섯 가지 간접 화행별로 분류한데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가장 정확히 답하지 못한 화행이 거절 화행이었다. 이에 본고는 교육 방안을 거절 화행을 중심으로 거절 화행에서도 3장에서 진행한 교재 분석 결과에서 빈도수가 가장 높은 ‘-(으)ㄹ 것 같다’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5장에서는 4장의 교육 방안을 실험반으로, 그리고 실험대상자로 삼은 중국의 Q대학교의 교육 방안을 비교반으로 하여 각각 20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교반의 대상자들보다 실험반의 성적이 수업 전보다 더 뛰어났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명시적인 교수법이 완곡어법의 교육에 있어서 효과적임을 설명하였다.
보다 많은 교재 분석과 다양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되지 못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리라고 보지만 향후 한국어 교육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완곡어법 교수에 미약하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