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베트남 이민자가정 아버지들의 어려움이 무엇이며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소집단 부모교육 과정에서 부모교육자 역할과 아버지들의 변화양상이 어떠한...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베트남 이민자가정 아버지들의 어려움이 무엇이며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소집단 부모교육 과정에서 부모교육자 역할과 아버지들의 변화양상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 이민자가정의 아버지가 영유아기 자녀양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베트남 이민자가정의 아버지 대상 소집단 부모교육에서 부모교육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셋째,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베트남 이민자가정 아버지들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베트남 이민자가정 아버지들이 가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변화 양상을 이해하고자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2012년 4월 30일부터 2012년 9월 16일까지 경기도에 거주하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베트남 이민자가정의 아버지 7명을 대상으로 소집단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소집단 부모교육은 P시에 소재한 교회의 심리 상담실에서 진행하였으며, 아버지들의 베트남 문화 이해와 자녀양육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토의하고 시연하는 과정이 부모교육에 포함되었다. 연구 기간 중에 총 20회의 부모교육을 진행하였으며, 부모교육은 1회기 당 90~12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은 4차로 나뉘어 실시하였다. 1차 면담은 2012년 4월 30일부터 2012년 5월 5일까지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하기 원하는 아버지 10명 을 대상으로 개별면담 형식으로 총 15회 실시하였다. 2차 면담은 2012년 5월 6일부터 2012년 8월 19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부모교육에 참여하는 아버지 10명 중 7명을 대상으로 총 56회의 개별면담이 이루어졌다. 3차 면담은 2012년 8월 26일부터 2012년 9월 2일 사이에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총 3회의 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4차 면담은 2012년 9월 9일부터 2012년 9월 16일까지 연구 참여자 부부를 대상으로 총 2회의 집단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 참여자 네 가정이 2012년 8월 1일부터 8월 4일까지 다문화가정을 위한 가족캠프에 참여하였는데, 이 과정을 본 연구자가 함께 하면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에 수집된 자료는 20회기의 부모교육 자료와 76회의 심층면담 자료, 참여관찰 자료, 현장노트, 약기노트, 저널 등의 자료로 범주화하고 의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베트남 이민자가정의 아버지들이 겪는 어려움은 다음과 같다. 자녀양육 과정에서 어머니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아내를 대신하여 아버지들은 어머니가 주로 하고 있는 역할까지 맡아서 하는 경우가 많았고, 부정적인 자아상으로 인해 부모 역할에 자신이 없거나 무력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아버지들은 아내가 지속적으로 친정에 경제적인 지원을 해야 하고, 어린 자녀들의 기본적인 요구에도 제대로 반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베트남 이민자가정에는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고 문화 차이와 양육 지식의 차이가 존재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자녀양육과 관련된 경제적인 어려움은 베트남 이민자가정을 힘들게 하는 또 하나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들은 안정적이지 않은 직장 생활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계속 증가하게 될 자녀의 교육비용에 대한 부담감을 상당히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집단 부모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부모교육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부모교육자는 베트남 이민자가정 아버지들이 베트남 문화에 대해서 이해하고 자녀양육을 위한 주제가 포함되도록 부모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부모교육자는 아버지들에게 소외되고 억압된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공간과 베트남 이민자가정의 가족들이 편안하게 있을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아버지들이 보다 편안한 마음으로 부모교육에 참여할 수 있었다. 부모교육자는 아버지들에게 부모교육 수업시간에 베트남 문화에 대한 이해와 영유아기 자녀양육에 관련된 지식과 정보의 제공자 역할을 하였다. 부모교육자는 또한 아버지들과의 감정교류를 통해 정서적인 공감을 함으로써 소통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지식으로만 아는 것에 그치지 않도록 아버지들이 배운 내용을 가정에서 실행해보고 토론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버지들의 양육태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또한 부모교육자는 아버지들에게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고, 부족한 부분은 반복하여 지원함으로써 아버지 역할에 자신감을 갖도록 정서적인 지원을 하였다.
셋째,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하기 전에 아버지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부정과 분노로 인하여 자녀양육 과정에서 갈등을 겪었으며 아버지 역할에 대한 자신감이 없었다. 그러나,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하면서 양육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아버지 역할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또한 부모교육에 참여하면서 변화된 아버지들이 어머니들에게 자녀양육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었고, 아내의 한국어 습득을 위해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자녀양육과 관련된 남편과 아내 간의 갈등이 완화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또한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하면서 베트남 이민자가정의 아버지들은 자녀양육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과 자신의 가정에 맞는 지원 서비스에 대한 정보 활용 방법을 알게 되었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