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를 말하고 배우는 것은 개인의 언어 용량(language capacity)에 달려있다. 그러나 이중언어 화자에게 이러한 언어 습득과 학습은 단순히 이중언어 환경에 노출되었다고 해서 그 성과가 모두 ...
언어를 말하고 배우는 것은 개인의 언어 용량(language capacity)에 달려있다. 그러나 이중언어 화자에게 이러한 언어 습득과 학습은 단순히 이중언어 환경에 노출되었다고 해서 그 성과가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이중언어아동에게 있어 그 성과를 만드는 차이는 다양한 외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한다. 이 외적 요인은 대표적으로 사회적 문맥(social context), 사회언어적 문맥(sociolinguistic context)이 있다.
두 언어가 하나의 사회적 상황에서 공존하고 있으나 공평하게 균형을 맞추기는 매우 힘든 일이다. 결국 이러한 불균형은 그 사회에서의 주류언어와 비주류언어를 만들게 되며, 일반적으로 주류사회가 요구하는 언어의 사회적 가치를 따라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으로 인한 이중언어아동의 내적 그리고 외적 요인들이 이들의 언어, 특히 모국어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거주 지역(한국과 미국)에 따른 양 언어의 사회적 위치(social status)와 이러한 사회적 문맥의 영향을 받는 요인으로 가정 내 모국어 사용량과 아동의 사회적 효능감을 택하여 이중언어아동의 내, 외적 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한국 은 서울 및 경기지역, 미국은 캘리포니아 얼바인에 거주하는 4~7세 이중언어아동과 그의 부모 각 15명, 총 60명이었다. 모든 아동에게 동작성 지능검사, 한국어·영어 수용어휘력 검사, 한국어·영어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 사회적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부모에게는 부모 설문지를 통해 가정 내 어머니의 언어량을 묻는 질문지를 배포하여 회수 후 분석하였다.
두 집단 간 사회적 문맥 요인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중언어아동의 수용어휘력, 이야기 산출 능력이 언어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 간 수용어휘점수와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량, 아동의 사회적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은 사회적 자기 효능감에서 한국거주 이중언어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두 집단은 L2인 영어 수용어휘력, 영어 이야기 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L1인 한국어 수용어휘력, 한국어 이야기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은 한국어 수용어휘력이 한국거주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한국어 이야기 문법적 발화비율, 복문비율이 한국거주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거주 이중언어아동은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량, 아동의 사회적 자기 효능감과 수용어휘점수 간의 정적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은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량과 한국어 수용어휘점수 간의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L1과 L2의 사회적 가치가 불균형을 이루는, 특히 L1 모국어의 위치가 낮은 미국 사회에서 이중언어아동의 모국어 수용어휘력은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량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두 집단 간 가정 내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미국거주 이중언어아동에서만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은 강력한 주류언어인 영어를 가진 미국의 사회적 문맥 상 비주류언어 화자가 모국어를 고수하고, 계승하기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사회 문맥적 차이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모국어 수용어휘력과 이야기 다시 말하기 중 문법 산출 능력에 집단 간 차이를 가져왔다. 결론적으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해석하기 위해선 아동이 속한 사회적 문맥 속에서 언어가 가진 사회적 위치를 이해해야 하며, 사회적 문맥이 영향을 주는 이중언어아동의 내·외적 요인들을 함께 고려하여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살펴보아야 함을 시사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