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 유아는 서로 다른 최소 대립어의 소리를 듣고 구분하는 반복적인 듣기 훈련을 하면 개별음을 지각하고 단어를 구분하여 언어습득의 도구가 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한 도...
본 연구는 어린 유아는 서로 다른 최소 대립어의 소리를 듣고 구분하는 반복적인 듣기 훈련을 하면 개별음을 지각하고 단어를 구분하여 언어습득의 도구가 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가 될 것이라는 배경을 바탕으로 하였다.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영어의 자음 음소쌍 중에서 유아가 혼동하고 있는 음소쌍은 무엇인지를 알아내고 최소대립어를 가지고 식별훈련을 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동작구에 있는 A영어 유치부 만 5세 원생 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3명을 실험집단으로 20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한 달간 7차시에 걸쳐 실험집단에는 최소대립어를 가지고 영어의 자음 음소쌍 식별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일반 커리큘럼을 따랐다.
두 집단의 동질성 파악과 유아가 혼동하는 자음 음소쌍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검사를 위하여 원에서 사용하는 교육 자료를 분석하여 자음 음소쌍 총 10가지 /r/과/l/, /θ/와/s/, /ð/와/d/ /f/와/p/, /f/와/v/, /v/와/w/, /p/와/b,/ /v/와/b,/ /m/와/n/, /t/와/d/를 가지고 최소대립어를 찾아내어 각 유형당 두 문제씩 총 20문제를 출제하였다. 이 중 오답률이 20%가 넘는 ð/와/d/, /v/와/b/, /θ/와/s/, /p/와/b/, /m/와/n/, /t/와/d/, /r/과/l/의 7가지의 최소대립어를 가지고 실험집단에 파워포인트로 제작한 자료와 최소대립어 게임 활동지를 가지고 식별훈련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검사를 통하여 두 집단이 동일한 집단임을 밝히었고, 유아가 가장 혼동하는 자음 음소쌍의 순은 /ð/와/d/, /v/와/b/, /θ/와/s/, /p/와/b/, /m/와/n/, /t/와/d/, /r/과/l/, /v/와/w/, /f/와/p/, /f/와/v/로 나타났다.
둘째,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의 평균보다 17.1645점 높게 나타났고 유의확률은 0.006으로 유의수준 0.05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자음 최소대립어를 통한 수업은 유아의 영어 자음 음소 식별 능력에 향상이 있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에 대한 교육 효과를 검정한 결과, 실험 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평균 차이 16.6342점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유의수준 0.05보다 작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어 역시 자음 최소대립어를 통한 수업은 유아의 영어 자음 음소 식별 능력에 향상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유아 영어 학습자에게 영어의 자음 최소대립어를 가지고 식별훈련을 하면 음소 식별능력에 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을 밝혔고, 유아 영어 학습자에게 영어의 개별음을 지각하고 단어를 구분하는 연습을 지도하면 언어습득의 도구가 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background that practice young children to distinguish different minimal pairs by hearing them, will act as a tool for acquiring language by perceiving separate sounds and distinguishing words as well as a tool for accurate ...
This study is based on the background that practice young children to distinguish different minimal pairs by hearing them, will act as a tool for acquiring language by perceiving separate sounds and distinguishing words as well as a tool for accurate communications. Among English Consonant phoneme pairs, the pairs that caused confusion in children of age 5 children were identified, and methods for distinguishing practice with minimal pairs were sought.
This study was aimed at 43 children at the age of 5 attending A preschool in Dong Jak-gu, Seoul, in which 23 subjects were an experiment group and 20subjects were in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underwent a distinguishing practice of English consonant phoneme pairs with minimal pairs through a 7-staged test for a month, and the control group underwent a normal curriculum.
In order to understand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nd the consonant phoneme pairs that the children are confused by,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The distinguishing practice was conducted using a Powerpoint resource and minimal pair game activity sheet with the 7 minimal pairs which showed wrong answer rates of over 20%; ð/ and /d/, /v/ and /b/, /θ/ and /s/, /p/ and /b/, /m/ and /n/, /t/ and /d/, /r/ and /l/.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liminary test showed that both the groups were equivalent, and the consonant phoneme pairs that the children were most confused by were in the following order; /ð/ and /d/, /v/ and /b/, /θ/ and /s/, /p/ and /b/, /m/ and /n/, /t/ and /d/, /r/ and /l/, /v/ and /w/, /f/ and /p/, /f/ and /v/.
Secondly, as a result of the post-test, the averag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17.1645 points higher than the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shown to be 0.006 which is lower than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which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lasses taught with consonant minimal pairs was proved to improve young children’s capability to distinguish phoneme. Also,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ducation effects on the experiment group, the significance possibility of the average difference of 16.6342 points of the pre- and post-tests on the experiment group was lower than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which means it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distinguishing practice with English consonant minimal pairs on young children learning English improves the ability to distinguish phoneme, and can act as tool for acquiring language and a means for accurate communication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