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 표현은 일상생활에서 습관적으로 굳어져 쓰이는 표현이므로 일반적인 표현과는 다르다. 관용 표현의 의미는 이를 구성하는 어휘의 의미를 합쳐 전체적인 의미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관용 표현은 일상생활에서 습관적으로 굳어져 쓰이는 표현이므로 일반적인 표현과는 다르다. 관용 표현의 의미는 이를 구성하는 어휘의 의미를 합쳐 전체적인 의미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구성 어휘와 무관한 제3의 의미, 즉 관용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 모어화자들은 자연스럽게 습득이 되지만 관용 표현은 제2언어(이하, L2로 기술) 학습자들에게 습득하기 가장 어려운 표현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에서 관용 표현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
한국어의 관용 표현과 똑같은 의미를 지니는 중국어 관용 표현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 관용 표현을 다른 언어권 학습자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어휘와 뜻으로 관용 표현을 분류할 때 두 언어 간의 비슷한 현상이 이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관용 표현에 대한 이해도와 이해과정에서 사용하는 전략에 어떤 요소가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I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하고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선행 연구는 주로 국어 관용 표현에 관한 연구와 L2 교육에서의 관용 표현 이해 및 이해전략에 관한 연구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문제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관용 표현에 대한 이해도와 사용하는 이해전략에 문맥 제공여부, 관용 표현의 유형, 숙달도 변인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연구 문제 I-①. 문맥 제공 여부에 따라 학습자들의 관용 표현 의미 이해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I-②. 문맥 제공 여부에 따라 학습자들의 관용 표현 이해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II-①. 관용 표현의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의 관용 표현 의미 이해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II-②. 관용 표현의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이해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III-①. 관용 표현 의미 이해도에 숙달도 변인이 존재하는가?
연구 문제 III-②. 관용 표현의 이해전략에 숙달도 변인이 존재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I 장에서는 한국어 관용 표현의 속성과 L2 관용 표현의 이해 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고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관용 표현의 이해전략을 검토하였다.
III 장에서는 연구 대상, 연구 절차, 자료 분석 방법 등을 밝히고 연구에 필요한 관용 표현 이해 평가지 I·II, 그리고 숙달도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IV 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문제 1-①, 문맥이 제공될 때 학습자들이 관용 표현에 대한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 문제 1-②에서는 ′문장을 통한 추측′의 전략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이해전략은 문맥 제공 여부와 상관없이 높은 순서부터 문자적 의미, 배경지식, 모국어 유사 관용 표현의 순서로 나타났다.
연구 문제 2-①을 고찰한 결과 뜻은 동일하나 어휘가 다른 표현이 가장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연구문제 2-②, 문맥이 제공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유형 1, 유형 3, 유형 4에 대한 이해전략으로 ′문자적 의미′의 사용률이 가장 높았고 유형 2에 대한 사용률은 ′배경지식′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문맥이 제공된 상황에서는 네 가지 유형에 대한 전략이 모두 ′문장을 통한 추측′이 가장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연구 문제 3-①은 문맥과 상관없이 모두 숙달도가 높은 집단인 상 집단이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연구 문제 3-②에서도 두 집단이 이해전략의 사용에 같은 경향을 보였다. 즉 학습자들이 문맥이 제공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문자적 의미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문맥이 제공된 상황에서는 문장을 통한 추측의 전략을 주로 이용하였다.
V 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의의와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관용 표현의 이해도와 이해전략에 작용하는 요소를 밝힌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연구에서 문맥 제공 여부, 관용 표현의 유형, 숙달도 변인으로만 나누어 분석하였으므로 그 외의 다양한 요소들을 밝힌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