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본 공동 작성을 통한 과정중심 쓰기지도가 초등영어 쓰기학습에 미치는 효과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surveyed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cess-based writing practice in role-play script co-construction for improving their English writing ability. It also analyzed their attitudes towards English writi...

This study surveyed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cess-based writing practice in role-play script co-construction for improving their English writing ability. It also analyzed their attitudes towards English writing activities. Process-based writing practice in role-play script co-construction is a creative writing process oriented to motivate students to write creatively and confidently in English within the cooperative atmosphere of teamwork.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ive times on six different classes in their regular English writing class. Five writing tests(post), two questionnaires(pre and post), one questionnaire(post) for lesson evaluation, in-depth interviewing and teacher's journal were administer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experimental treatment on the learners' writing ability, interest, self-confidence and cooperative spirit.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of both the entire group and each writing proficiency level group. In addition, a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s in proficiency lower level stud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garding the cognitive domains.
First, it was found that process-based writing practice in role-play script co-construction aided the improvement of overall English writing ability. Although there was a slight change in the scores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the phrase and diversity of the vocabulary, the overall writing score of the students increased after the experi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s in the sub-elements of writing ability after the experime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tudents' writing proficiency. Task relevance and mechanics of high proficiency level students were changed significantly. Medium proficiency level students showed the improvement in the all sub-elements of writing ability, whereas low proficiency level students got better grades in task relevance and vocabulary.
Third, afte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low proficiency level students' writing test, an apparent increase in the amount of writing was observed and some students could use story structure. Students were getting to use vocabulary accurately and diversely. On the other hand, errors were found constantly and frequently, which proved that accuracy of writing was difficult to acquire for low proficiency level. Mechanics scores slightly improved, but students had difficulty in acquiring knowledge in the usage of periods and the special rul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garding the affective domains.
First, the questionnair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ing in three affective domains: interest, self-confidence and cooperative spirit because the mean test score of all the students subjected to the experiment greatly improved.
Second,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for lesson evaluation, students responded that process-based writing was more useful, interesting and cooperative than product-based writing, although the former was more difficult than the latter.
Third, in-depth interviewing and teacher's journal indicated that process-based writing practice in role-play script co-construction was a good method for motivating students as they like to role-play in front of their peers. It was also helpful for all levels of students because both high proficiency level students and low proficiency level students enjoy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Students were active participants and they could learn how to apply strategies of writing.
The conclusion was that process-based writing practice in role-play script co-construc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nglish writ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as improving their attitude towards English writing ac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정중심 쓰기지도초등영어 교육과정 수준에 맞게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대본 공동 작성통한 과정중심 쓰기지도 모형을 구안하고 정규영어수업시...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정중심 쓰기지도를 초등영어 교육과정 수준에 맞게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대본 공동 작성통한 과정중심 쓰기지도 모형을 구안하고 정규영어수업시간의 차시를 재구성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49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수업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총 5회의 수업을 실시하고, 실험 수업 직후 5회의 형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전체 학생 및 학생 수준별 쓰기 형성평가 점수의 추이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영어쓰기능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영어쓰기에 대한 인식과 태도와 관련하여 정의적 영역 설문지, 사후 수업평가 설문지, 교사 관찰일지, 개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영어쓰기능력 평가 결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본 공동 작성을 통한 과정중심 쓰기 수업에 참가한 학생들은 5회의 형성평가를 통하여 과제 관련성 항목의 점수 상승을 보여주었다. 정확성 항목, 어휘 항목 및 기술적 세부사항 항목의 점수는 실험단원의 어구 복잡성 및 어휘의 다양성에 따라 다소 점수의 변동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점수의 상승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형성평가의 점수 추이를 수준별 집단으로 분석한 결과 상위 수준 집단은 과제 관련성 및 기술적 세부사항 항목에서 점수 상승을 보여주었다. 중위 수준 집단은 정확성 항목, 어휘 항목, 기술적 세부사항 항목, 과제관련성 항목의 순으로 전 항목에서 점수가 상승하였다. 하위 수준 집단은 과제 관련성 및 어휘 항목에서 점수 상승을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하위 수준 학생의 사례수가 적어 하위 수준 학생의 쓰기 형성평가에 한하여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하위 수준 학생의 쓰기 능력 변화를 분석하였다. 하위 수준 학생 집단은 과제관련성 항목에서 쓰기의 양이 확연히 늘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일부 학생의 경우는 단순히 문장 또는 단어를 나열하는 수준이 아니라 이야기 구조를 적용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정확성 항목은 다양한 과대 일반화 및 한국어 어순의 적용 등을 공통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는데 오류가 빈번하게 나타나며 지속적으로 발견됨으로써 정확성 항목의 학습을 어려워함을 알 수 있었다. 어휘 항목의 변화는 쓰기의 절대량이 늘어난 것과 동시에 학생들이 사용하는 어휘가 점점 정확해지고 다양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모르는 어휘에 대하여 모양을 연상하거나 소리를 연상하여 쓰는 등의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기술적 세부사항 항목은 점수가 다소 향상되었으나 온점 및 특수한 규칙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쓰기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의 흥미도, 자신감 및 협동적 수업태도와 관련하여 정의적 영역 설문을 실시한 결과 흥미도, 자신감 및 협동적 수업태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둘째, 수업 실시 후 사후 수업평가 설문지를 분석하여 대본 공동 작성을 통한 과정중심 쓰기지도에 대한 학생들의 구체적인 의견을 수집하였는데 결과중심 쓰기활동과 과정중심 쓰기활동을 비교하였을 때 학생들은 과정중심 쓰기활동이 더 어려우나 쓰기 능력을 키우는 데 더 유용하고 재미있으며 협동적으로 수업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정의적 영역 설문지와 사후 수업평가 설문지의 내용을 보충하여 개별 면담 및 수업 관찰일지를 통하여 학생들의 태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역할극 활동의 실시로 인하여 쓰기 활동에 목적성을 느끼고 동기를 갖게 되었으며 수준에 맞는 글쓰기 경험을 제공받음으로써 상위 학생 집단과 하위 학생 집단이 모두 협동적으로 참여하는 쓰기 활동을 실시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호 교정 및 토의 과정을 통하여 쓰기 공동체 내에서 상호 성장하는 쓰기 활동을 경험하고 단계별 쓰기 전략을 통하여 쓰기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대본 공동 작성을 통한 과정중심 쓰기지도는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수준별 학생들의 쓰기 습득 경향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쓰기 수업 연구가 더욱 폭넓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