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지지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지지가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지지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지지가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초기 한국생활의 적응과정 이후에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환점을 맞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하여 강점관점의 사회복지실천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회관계망은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의 수(크기)를 측정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4개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다. 종속변수인 임파워먼트는 긍정적 자아상, 실제적 힘, 사회․정치적 의식 3개의 하위요인에 대하여 수준과 차이,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고,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임파워먼트의 총점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7일부터 4월 5일까지 실시하여 18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자료가 불충분하거나 무응답을 제외한 총 134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관계망의 크기는 평균 22명이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고, 정보적 지지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물질적 지지는 보통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하위영역에서 긍정적 자아상과 사회․정치적 의식이 실제적 힘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국적에 따른 임파워먼트 차이는 실제적 힘에서만 필리핀이 베트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국적에 따라 임파워먼트의 수준이 다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학력에 따른 임파워먼트 차이는 대졸 이상에서 중졸이하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력의 현저한 차이가 임파워먼트의 수준을 달리한다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사회관계망 및 사회적 지지의 임파워먼트 간의 상관관계의 분석결과,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요인이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아상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보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인 실제적 힘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강점 관점의 사회복지실천에서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을 고려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지지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학력, 한국 거주기간, 자기효능감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각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사회관계망은 임파워먼트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보적 지지가 정적인 영향을, 평가적 지지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관계망의 크기가 클 수록, 정보적 지지가 클 수록 임파워먼트가 향상되며, 평가적 지지가 클 수록 임파워먼트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결과에 의한 제언을 하자면 첫째, 사회관계망의 친구관계와 연계성을 고려한 서비스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하며, 둘째, 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 평가적 지지의 부정적인 효과를 고려한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다문화 사회복지를 실천을 하기 위한 인력 개발이 필요하다. 즉, 문화적 역량, 문화적으로 다양한 클라이언트들의 세계관을 이해하는 능력, 클라이언트의 특성에 맞는 개입전략과 기술 등을 겸비한 다문화 사회복지사들을 확보하여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he social network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social support on empowerment. By interpreting the effects the social network as well as social support have on the empower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he social network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social support on empowerment. By interpreting the effects the social network as well as social support have on the empower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tudy is purposes to present reasons for social welfare realization through the strength perspective in regards to the turning point of the immigrant women who have experienced a new life environment after the adaption process of the initial life in Korea. The social network was measured through the number(amount) of people who have engaged relationships, and the social support was scrutinized through a break-down of 4 sub-sections of elements which are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physic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Empowerment,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as examined according to 3 sub-sections which are positive self-image, actual power, social․political consciousness in terms of the level, difference and correlation. Moreover, the total score of empowerment was analyzed throug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182 copies of surveys were retrieved from 2013 March 7th to April 5th in regards to subjects who were marriage immigrant women living in Daegu, and 134 surveys which were filtered out from those that included insufficient information or no response were analyzed as final material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run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indicate a marriage immigrant woman's social network size was 22 people on average and,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showed high levels while informational support showed relatively low and physical support showed moderate level. The results prove that there is possibility of difference in empowerment level according to the nationality and education background.
According to the analysis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network and the social support's total score as well as the empowerment total sc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 on empowerment, the education level, period of living in Korea, and self-efficacy were controlled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run so that each level of effect could be checked. In result, social network showed a positive effect on empowerment as with the informational support which is a sub-factor of social support, while the evaluative support showed a negative effect. This shows that as the social network and informational support increase, empowerment improves, and as the evaluative support increases, empowerment weakens. The results suggest that service development must proceed considering the link of relationships with friends in terms of social network, that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negative effect of evaluative support in the process of social welfare practice is needed, and that human development is needed for practicing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in social welfare facility sites.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providers who possess the cultural competency, understanding diverse of world-views, and intervention strategy that comply with the clients' characteristics must be secured to provide systematic services.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