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특성 연구 : 언어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구어 발화 자료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한국발화 특성언어학적 측면에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학습자의 언어 사용에 대...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구어 발화 자료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한국어 발화 특성을 언어학적 측면에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쓰기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며, 구어 자료 분석 연구가 수행되기는 했으나 대개 어미의 사용 양상과 오류만을 다루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구어 자료 분석은 오류에 국한하지 않고 전반적인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은 대부분 처음 접하는 교재와 수업 환경에서 노출되는 한국어를 통해 문어체를 학습하고 접하게 된다. 그렇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문어보다 구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교재를 위주로 한국어를 학습한 학습자들은 교재에 나오는 표현들을 문어체와 구어체 간의 구별이 없이 그대로 사용하다 보니 어색한 발화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처럼 상황에 맞는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구사하려면 구어와 구어 교육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중국인 학습자 평균 2∼3명이 자유 대화한 녹음 파일 18개를 했다.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은 3∼6급으로 각각 다르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는 음운적 측면, 어휘적 측면, 문법적 측면에서 그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음운적인 특성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초성에서는 평음, 경음, 격음의 발음을 구별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중성에서는 한자어의 중국어식 발음을 그대로 대응시켜 발음하며 종성에서는 받침소리를 탈락시켜 발음하는 것이 가장 특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어 모어 화자의 구어에서 흔히 나타나는 수의적 경음화 현상과 축약 현상이 중국인 학습자에게도 나타났는데 이것은 학습자가 주위 언어 환경에 노출되다 보니 모어 화자를 따라 이런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습득된 것이라고 추측된다.
어휘 사용 면에서는 한자어와 중국어 한자의 뜻을 헷갈려서 한자어를 잘못 택해서 사용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모어 간섭으로 인해 중국어식 표현을 만들어 사용한 경향도 자주 보였다. 구어체 어휘의 사용은 학습자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를 따라 구어체 어휘들을 사용하였다.
문법적 특성은 주로 학습자의 조사와 어미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사 사용에서는 생략되는 경우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조사를 잘못 사용한 대치 오류도 자주 발견되었다. 중국인 학습자는 어미를 다양하게 사용하지 않고 자주 사용하는 어미 몇 개를 제한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국어 모어 화자처럼 연결어미를 종결화시켜 사용하는 경우도 보였지만 역시 ‘-고’, ‘-(으)ㄴ/는데’, ‘-아/어서’, ‘-(으)니까’, ‘-(으)면’ 등 자주 사용하는 어미들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처럼 제한적인 어미의 사용 양상을 보였으나 어미의 의미와 쓰임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탓으로 어미 오류도 많이 범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구어에서 나타난 언어학적 특성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앞으로 학습자의 다양한 국적별 및 숙달도별 구어 발화 특성에 관한 연구가 좀 더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가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spoken language utterances to identify their Korean-language utterance characteristics. Previous studies on Korean-language learners' language use were based on the data of written la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spoken language utterances to identify their Korean-language utterance characteristics.
Previous studies on Korean-language learners' language use were based on the data of written language, and although studies based on spoken language data were conducted, most of them dealt only with the patterns and errors of using endings. Thus,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spoken language data was not just limited to errors, but sought to identify their overall use patterns and their characteristics.
Korean-language learners are mostly exposed to learning Korean written language system through textbooks and learning environments. However, in actual life, they mostly communicate with others not by written language, but by spoken languag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who mainly use textbooks often use expressions learned from textbooks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written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systems, thus making their utterances awkward. To allow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o converse using natural, and appropriate Korean spoken language according to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spoken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education.
For this study, 18 recorded files of two to three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conversations on average were used. Their Korean language levels ranged from TOPIK level 3 to level 6. The usage patterns of such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phoneme, vocabulary and grammar.
The findings of the survey are outlined as follows.
Phonem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terms of first, middle and final sounds. In initial sounds, learners did not distinguish between lax sound, tense sound and aspirated sound. In middle sounds, they used Korean-Chinese words' Chinese-style pronunciation. In final sounds, they dropped ending consonant sounds in their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On the other hand, as often shown in Korean native speakers' spoken language, voluntary tense pronunciation and abbreviation phenomena appeared in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as well. This is presumably because learners are exposed to the language environment, naturally learning from Korean native speakers.
In terms of vocabulary usage, learners were often confused between Korean-Chinese words and Chinese words, using Korean-Chinese words incorrectly. Also, due to the interruption of their mother tongue, they often used Chinese-style expressions. Learners varied in the use of spoken language vocabularies, but most of them used spoken language, being influenced by Korean native speakers.
For grammatical characteristics, learners' patterns of using post-positional endings and endings were examined. They frequently omitted post-positional endings, and incorrectly replaced them. Chinese learners did not use endings diversely, but repeatedly used a few limited number of endings. Like Korean native speakers, they often used connecting endings in the finishing context, but the number of endings that they used was limited to ‘-고’, ‘-(으)ㄴ/는데’, ‘-아/어서’, ‘-(으)니까’, ‘-(으)면’. As such, they used a limited number of endings, but since they did not correctly know the meaning and usage of endings, they made many mistakes in using endings.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spoken language. Future studies should research on learners' spoken language utter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verse nationalities and skill levels. This study is hoped to be a referenc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