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요청 화행의 공손성을 중심으로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요청 화행의 사용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 모어 화자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요청 화행의 공손성을 중심으로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요청 화행의 사용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 모어 화자의 요청 화행과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요청 화행을 비교․분석하였다. CCSARP(The Cross-Cultural Study of Speech Act Research Project)의 전략 유형을 기초로 11편의 선행 연구 메타분석과 TV 드라마 대본을 분석을 통해 한국어 요청 화행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크게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요청 화행에 나타나는 요청 전략 및 요청 표현이고 두 번째는 요청 상황의 변인이다. 두 번째 기준은 다시 요청 상황의 성격(권리/부탁), 친밀도(소원/친밀), 사회적 힘의 차이(S<H, S=H ,S>H)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두 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내의 요청 화행을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은 한국어 교재 전체의 종합 분석과 단계별 분석을 실시한 뒤 드라마 대본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드라마 대본의 요청 화행에 나타난 요청 전략은 직접 명령하기(60.7%), 암시하기(11.4%), 제안성 어구 사용하기(9.9%), 간접 명령하기(8.8%)의 순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직접적 단계에 속하는 요청 전략(72.0%)이 간접적 단계에 속하는 요청 전략(28.0%)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사용 빈도를 보였다. 드라마 대본에 나타난 요청 상황의 변인별로는 요청 화행이 청자는 물론 화자 자신에게도 부담이 되는 부탁의 상황일 때, 화자와 청자가 소원한 관계일 때, 청자의 사회적 힘이 더 클 때 다양한 요청 전략을 사용하며, 특히 간접적 단계에 속하는 요청 전략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또한 요청 전략의 선택에 요청 상황의 세 가지 변인 모두가 영향을 주지만, 화자와 청자의 사회적 힘의 차이보다는 요청 상황의 성격과 화자와 청자의 친밀도의 영향을 더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재의 요청 화행에 나타난 요청 전략 역시 드라마 대본 분석 결과와 같이 직접 명령하기(41.1%), 암시하기(16.8%), 제안성 어구 사용하기(15.4%), 간접 명령하기(10.5%)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드라마 대본과 비교했을 때 교재에 나타난 요청 전략은 직접적 단계와 간접적 단계에 속하는 요청 전략이 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또한 교재 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략이 있지만 드라마 대본과 비교했을 때 어느 한 전략에 과도하게 치중되어 나타나지는 않았다. 요청 상황의 변인별 분석 결과도 드라마 대본과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요청 전략의 선택에 화자와 청자의 친밀도 차이보다는 요청 상황의 성격과 화자와 청자의 사회적 힘의 차이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마 대본과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요청 화행을 분석한 결과 요청 전략의 사용 빈도 및 요청 표현의 사용 양상에 일부 차이가 있었지만,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 실제 한국인의 요청 화행의 양상을 전반적으로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재에 나타난 요청 상황의 성격 및 화자와 청자의 친밀도 등이 편중되어 있었으며, 대부분의 대화가 비격식적인 상황에서 일어나고 있어 다양한 상황 및 대화 참여자의 설정이 필요했다. 둘째, 교재에 나타난 요청 표현을 드라마 대본과 비교했을 때 한정된 몇 개의 표현만 제시되고 있었으며, 교재의 단계가 높아져도 동일한 표현이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한국어 교재에 좀 더 다양한 요청 표현의 제시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교재의 요청 화행에 나타난 요청 전략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11개의 전략 중 4개의 전략(직접 명령하기, 간접 명령하기, 제안성 어구 사용하기, 힌트주기)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보다 다양한 전략의 제시가 필요했다. 넷째, 동일한 요청의 내용이라 하더라도 화자와 청자의 친밀도에 따라 다른 요청 전략이 사용 되는 것에 대한 내용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못한 비언어적 요소도 성공적인 요청 화행 교육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요청 화행 교육의 실현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둘째, 한국어 교육에서 요청 전략 및 요청 표현의 필요성을 공고히 하는 역할을 했다. 본 연구는 한국어 요청 화행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첫걸음으로서 교재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교재를 분석하는 것이 곧 수업 현장 전부를 살펴보는 것은 아니므로, 한국어 교육 현장 전부를 고찰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또한 요청 화행 중에서도 주 행위 발화만 살펴보았으며, 요청 상황 변인을 세 가지로만 한정한 것도 본 연구의 제한점이 될 수 있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