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초급어휘교육을 위한 연어선정 연구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Selection of Basic Collocation for Korean Education
-Focusing on'uninflected word/predicate-type'-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한국어 초급어휘교육을 위한 연어선정 연구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Selection of Basic Collocation for Korean Education
-Focusing on'uninflected word/predicate-type'-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전공 류 정 민
지 도 교 수 엄 정 호
본 연구는 현재까지 연어 교육의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던 초급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효율적인 초급어휘교육을 위한 ‘체언/용언’형 연어 선정을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 연어 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연어 교육과 관련된 국어학적, 한국어교육학적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의 연어 교육의 중요성을 밝혔다.
2장에서는 연어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기존 대학기관에서 한국어교육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초급교재 3종 10권을 통해 교재 내 연어 제시 양상과 연어 목록을 살펴보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교재의 연어 범위에 대한 기준의 상이함으로 인해 난이도와 빈도, 실용성을 모두 고려한 표준화된 초급 연어 목록 선정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초급 어휘 교육을 위한 연어 선정 기초 자료로 김중섭(2009)에서 제시된 ‘초급 표준 어휘 목록’의 명사를 가지고 한국어 연어사전(2007)의 표제어를 기준으로 하여 연어핵을 선정하였다. 또한 김중섭(2009)에서 제시된 초급용 용언을 고려한 언어변을 더해 한국어 연어사전(2007)에 제시된 연어를 통해 1차 연어 목록을 추출하였으며. 한국어 연어사전(2007)에는 표제어로 등재되지 않았으나 연구자가 초급 단계에 필요하다고 생각한 연어 목록과 국립국어원의 <21세기 세종 계획>에서 구축한 형태 분석 말뭉치를 통해 빈도수를 기준으로 2차 연어 목록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 3종 10권에서 제시된 연어 목록을 기준으로 하여 빈도수는 적으나 초급 연어 교육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연어와 연어 목록에서 빈도수와 상관없이 한국어교육용으로 맞지 않는 연어를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연구자의 직관으로 다시 한 번 정리하여 최종 ‘체언/용언’형 연어 목록을 선정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연어사전(2007)과 김중섭(2009)의 초급표준어휘 목록을 연어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연어를 구성하는 체언과 용언의 난이도와 앞으로 사용될 연어 목록의 실용성을 모두 고려하고자 하였으며, ‘세종 형태분석말뭉치’의 방대한 자료를 통해 한국인 사용 빈도 조사하여 초급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주요어 : 한국어교육, 연어교육, 연어선정, 체언/용언, 초급연어, 초급어휘교육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