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thods to educate Korean culture more effectively by comparing the world creation myth of Korea and China. The value to utilize the world creation myth as Korean culture education lies in knowing the spi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thods to educate Korean culture more effectively by comparing the world creation myth of Korea and China. The value to utilize the world creation myth as Korean culture education lies in knowing the spirit and thinking method of the people of the two nations through the common things and differences in their myths.
Here are the summaries of the discussion in this article.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e myth is reviewed, and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culture education using myths and fairy tales in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sult, research methods for the culture education utilizing myths were proposed while previous study results are still accommodated positively. In study methods, five different perspectives were proposed; first, purely cultural perspective, second cultural comparative perspective, third perspectiv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students, fourth the method to communicate with learners, and finally the fifth, how to link the theory to the reality.
In Chapter 2, the criteria to select the cultural tex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three fields such as definition, catego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myths, the question 'What is the Myth' was answered. Choi Young-jin (2003) summarized the theories to propose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myth education. And then a survey was executed to the students and teachers to see the validity of myth text selection and feasibility of the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myths of Korea and China. Encouraged by the positive result of the survey, we proposed the definition of the world creation myth of Korea and China, content and the meaning of the comparison further in details.
In Chapter 3 and 4, integrated class models for the beginners, intermediates and advanced learners were proposed. Although it is clear that myths can be applied to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t is not certain if it can be applied to the beginners. Thus it was applied to the classes for beginners and then the survey was followed. The survey gave very positive results. It implies that if we select the right tex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all the learners.
There were limitation in this study that we could not perform systematic classes including more samples and thus the myth materials remained to be the auxiliary materials for the Korean culture class. It is expected that the teaching methods discussed in this article could be utilized in the class actively and could be the starting point for the researches to identify more improving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창세신화와 중국 창세신화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한국 문화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한국 문화교육으로서의 창세신화의 활용 가치...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창세신화와 중국 창세신화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한국 문화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한국 문화교육으로서의 창세신화의 활용 가치는 양국 창세신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 양국 사람의 정신과 사고방식을 알게 되는 것이다. 한국 문화교육을 위한 창세신화는 한국의 ‘천지개벽’과 ‘인간탄생’, 중국의 ‘반고개벽’과 ‘여와조인’을 문화 내용에 따라 나누어 제시하였다. 중국인 학습자가 쉽게 습득할 수 있기 위해 중국인이 친숙한 창세신화 주제를 선택하여 한국의 주제와 똑같은 신화제재로 비교하고 문화교육을 진행하였다. 또한 신화 제재의 선정과 재구성에 대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길지 않고 간단하고 재미있는 신화이야기를 선택해야 하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초-중-고급의 각 단계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문화 교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논문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 신화의 목적과 필요성을 점검하고, 한국어 문화교육에서 설화, 동화를 이용해서 문화교육을 진행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의 성과물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되, 신화를 이용해서 문화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연구 방법에서는 첫째, 명실상부한 문화론적 관점. 둘째, 문화 비교의 관점. 셋째, 외국인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관점. 넷째, 학습자와 상호 소통하는 방법. 다섯째, 이론과 실제를 연계하는 방법. 이상의 다섯까지 관점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우선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제재의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첫째, 무엇보다도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 수 있는 문학 작품이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언어 능력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분량이 길지 않은 작품이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친숙한 주제를 다루고 있어야 한다.
다음에 신화의 정의와 분류 두 가지 분야를 통해 신화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에 본 연구가 신화제재를 선정한 타당성과 한국과 중국 창세신화의 비교를 통한 한국어 문화 수업의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 외국어를 배우는 학생들과 가르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긍정적인 조사결과를 받은 후 더 구체적으로 한국과 중국의 창세신화의 정의, 내용과 비교의의를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필자가 실제 한국어 문화 수업을 한 사례를 정리 보고하였다. 신화는 중-고급 학습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는 말을 할 수 있지만 초급 학습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지 확실하지 않아서 초급학습자 대상으로 문화 교수방안을 실제 수업에 활용하였다. 문화 수업을 진행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매우 극정적인 결과를 나타났다. 이는 결국 신화 제재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선정하면 모든 학습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신화를 이용해 실제로 수업에 적용시켜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신화는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어 문화교육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주고, 학습동기와 흥미를 불러일으켜 한국어를 재미있게 배울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자기나라의 신화와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한국어 문화의 접근에 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신화는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용이하며, 언어 기능과의 연계가 자연스러워 상호 발전적인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특히 학습자의 부족한 언어 기능을 보충-심화 하는 데에 큰 효과가 있었다.
셋째, 다양한 주제의 신화와 새로운 형태의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참여를 자극함은 물론 아이디어 생성 등 창의력 신장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따라서 신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 욕구를 지속적으로 자극하고, 언어 교육적 측면 및 문화 교육적 측면은 물론 창의력 발달에도 매우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제3장에 실제로 실행해보았던 문화수업모형 중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중급학습자 대상으로 더 나은 교수방안을 개발하였다. 도입 과정으로는 신화를 보기 전 질의 및 응답을 통하여 흥미 유발하기를 설정하였다. 특히 ‘단어 사전 학습 게임’이라는 활동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전개 과정으로는 신화를 듣고 난 후 내용 추측하여 말하기, 읽고 이해하고 연습문제를 대답하기, 어휘 및 문형 익히기, 듣고 받아쓰기, 신화의 비교, 역할극, 확인 학습 및 토론 등으로 제시하였으며, 마무리 과정으로는 수업후기 및 과제 부분을 제시하였다. 특히 신화의 비교나 역할극이나 확인 학습 및 토론하기를 통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한국의 문화를 한층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논의된 교수방법론이 한국어 교육계에서 신화를 활용한 수업에 적극 활용되고, 나아가 보다 발전적이고 효과적인 교수법 개발 및 연구 활성화에 작은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