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그림-단어 간섭 과제를 사용하여 비유창한 한국어-영어 이중 언어 화자의 어휘 산출 과정에서 언어 특정적(language specific) 어휘 선택이 이루어지는지 언어 비특정적(language non-s... 본 연구에서는 그림-단어 간섭 과제를 사용하여 비유창한 한국어-영어 이중 언어 화자의 어휘 산출 과정에서 언어 특정적(language specific) 어휘 선택이 이루어지는지 언어 비특정적(language non-specific) 어휘 선택이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 1A과 1B는 표적그림을 한국어로 명명할 경우 한국어 혹은 영어 방해자극에 의한 의미간섭효과 그리고 표적자극 혹은 방해자극의 빈도 수준에 따른 의미간섭효과가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1A에서는 의미간섭효과는 나타났지만 자극들의 빈도 수준에 따라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이것은 한국어 어휘들이 친숙도가 높기 때문에 자극들의 빈도 수준과 무관하게 유사한 의미간섭효과를 일으킨 것이다. 실험 1B 에서 고빈도 표적자극은 친숙도가 낮은 방해자극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의미간섭효과를 일으켰지만, 저빈도 표적자극은 영향을 약하게 받아 유의미한 의미간섭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한국어 표적어휘를 선택하는 동안 표적어휘와 비표적 어휘 활성화가 경쟁을 하여 의미간섭효과를 일으키지만, 표적어휘의 빈도 수준에 따라 일어나는 의미간섭효과의 크기는 다르다. 실험 2A와 2B 는 표적그림을 영어로 명명할 경우 영어 혹은 한국어 방해자극에 의한 의미간섭효과 그리고 표적자극 혹은 방해자극의 빈도에 따른 의미간섭효과의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2A에서는 유의미한 의미간섭효과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이것은 한국어와 달리 영어 어휘 선택 과정에서 영어 방해자극의 의미 정보가 잘 처리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험 2B에서는 의미적으로 관련된 고빈도 한국어 방해자극이 제시될 경우, 영어 표적 어휘의 명명 반응 시간이 빨라졌다. 이것은 영어 방해자극과 달리 한국어 방해자극은 빈도 정보뿐 아니라 의미 정보까지 처리 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방해자극이 의미 점화 효과를 일으켜 영어 표적어휘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 된다. 결론적으로 한국어와 영어의 어휘 산출 과정에서 어휘 선택 과정은 언어 비특정적(language non-specific)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영어의 유창성 수준이 낮은 이중 언어 화자이기 때문에 영어 어휘 산출 시 영어 방해 자극과 달리 한국어 방해 자극은 의미점화를 일으켜 영어 표적 어휘 선택에 도움을 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reveal whether the word production process for the non-fluent Korean-English bilinguals is language specific or non-specific using word-picture interference paradigm. To this end, the target and distracter frequency...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reveal whether the word production process for the non-fluent Korean-English bilinguals is language specific or non-specific using word-picture interference paradigm. To this end, the target and distracter frequency, and semantic relatedness between them were manipulated. In Experiment 1A, where both naming language and distracter word was Korean, semantic interference effect between target and distracter was occurred, but this effect was not modulated by frequency of target or distracter. It seems that Korean distracter is processed to the semantic level regardless of its frequency because Korean is familiar with Korean subjects. In Experiment 1B, where naming language was Korean but distracter was English, the semantic interference effect was modulated by the target frequency but not by the distracter. The result of Experiment 1a and 1b support language non-specific hypothesis as English distracter affect the word production process. In Experiment 2a, where both target and distracter were English, only target and distracter frequency influence on the word production process, no semantic interference effect was found. It seems that, when a non-fluent Korean-English bilingual produce an English word, semantic information of the distracter word is not processed to the semantic level. However, when the distracter word was Korean in Experiment 2b, the semantic interference effect was varied depend on the frequency of Korean distracter. It means that the Korean word was processed to the semantic level even it was a task irrelevant. In sum, the present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support the language non-specific hypothesis in Korean-English bilinguals because semantic relatedness between target and distracter affected word production process. Also, word production is dependent on the mother language because the semantic interference effect was modulated by the frequency of Korean but not by English.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