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problems and current situation of "Korenn Cultural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ccording to this purpose, it focuses on the debate of "Cultural textbook for Overseas Koreans".
Firstly, discover 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problems and current situation of "Korenn Cultural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ccording to this purpose, it focuses on the debate of "Cultural textbook for Overseas Koreans".
Firstly, discover specific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 Learners.
secondly. mention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and establish an educational
target for overseas Koreans.
Thirdly, understand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Fourthly, prepare theoretical foundations fnr development of the Korean Cultural
Textbook.
Lastly, propose methods to develop the Korean Cultural Textbook.
Detailed contents of this research for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Textbook for Overseas Koreans" are shown by each chapter as below.
In Chapter 1, 1 indicated overall direction o('this research by raising questions about "Korean Cu]tural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fter examining the necessity, the purpos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research, and the preceding- research about the Cultural Tentbook and th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its related matters were enamined ir Chapter 2.
I scrutinized the geTeral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 Learners and the necessity of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and also indicate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forean Cultural Education and its related matters. In addition, further questions were raised in Chapter 2 for future research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lture amongst the Korean tentbook for Overseas Korean, the Korean Cultural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and the Foreign Language Textbook, the direction for further developing Korean Cultural Tektbook that we have to pursue in the future was clofely examined in Chapter 3.
In order to make foundation of developing the Korean CulturaB Textbook, 1 clarify its meaninB and oecessity. and examined its characteristics and constitution of contents. At the same time, 1 showed principals of developlng Textbook in Chapter 4.
I presented the composition of syllabus and units, and models for each unit in Chapter 5 that are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the basic survey for Korean Cultural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and the result and implication from the analysis of Texbook.
This Chapter summariBed all research works with the meanings of this study that was mentioned from Chapter 1 to 5. And, 1 pointed out its limitation and proposal in this Chapter.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the first work of systematicaRl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Korean Cultural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in an aspect of Cu Itural Education .
It is also meaningful because the methods of developing Korean Cultural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have been suggested through th is research .
본 연구는 재외동포를 위한 문화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문화교재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이 연구는 재외동포를 위한 문...
본 연구는 재외동포를 위한 문화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문화교재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이 연구는 재외동포를 위한 문화교재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논의에 초점을 맞춘다.
첫째, 재외동포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재외동포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재외동포를 위한 문화교육 목표를 수립한다.
셋째, 재외동포 문화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넷째, 교재 개발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한다.
다섯째,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위와 같은 논의에 초점을 맞추어, 재외동포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교재 개발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각 장 별로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내용 및 방법, 문화교재 관련 선행 연구와 재외동포교육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본 후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본 연구의 전반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재외동포의 문화교육 현황?과제와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재외동포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재외동포 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고, 재외동포 문화교육 현황과 그 문제점을 지적하며, 향후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재외동포용 문화교재에 관한 설문 조사를 하고 재외동포 한국어교재 속의 문화, 재외동포 문화교재 속의 문화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재외동포 문화교재가 추구해야 할 방향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문화교재 개발의 이론적 기초 마련을 위해 문화교재의 의미 및 필요성을 규명하고 재외동포를 위한 문화교재의 성격과 교재 내용 구성에 대해 살펴보는 한편, 교재 개발의 원리도 제시해 보았다.
Ⅴ장에서는 문화교육 현황과 재외동포 관련 문화교재에 관한 기초 조사와 교재 분석에서의 결과와 시사점을 토대로 교수요목 구성, 단원 구성 체제, 단원 모형을 제시해 보았다.
Ⅵ장에서는 이제까지의 연구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다시 한 번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 및 제언을 덧붙였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