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개요 지리학은 자연과 인간 사이의 끊임없는 상호 작용으로 인한 공간상의 구조 및 상호 관련성을 연구한다. 지방화, 국제화 시대의 지리학은 과거의 여러 사회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선험적 연구를 토대로 환경문제 및 국제적 이슈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점을 제시하고 있다. 지리교육은 이러한 지리학의 기본 개념이나 원리, 사고, 연구방법을 통해 국토나 세계의 지역 구조를 학습함으로써, 종합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갖추도록 유도하는 학문분야로서 지리학의 발전 정도가 지리교육에 반영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 지리학이 성립된 독일, 프랑스, 영국과, 지리학에 계량적 분석 방법을 적용한 미국, 가장 넓은 국토를 가진 국가 중 하나인 러시아, 그리고 개방화 정책으로 변화하는 중국, 아시아에서 선도적으로 문호를 개방한 일본의 지리교육을 비교·분석한다. 또한 한국의 경우는 조선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리교육의 변화 과정에 대해 고찰한다. 먼저 각 국가의 현재 대학 진학 목적의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1, 2, 3학년 지리교과서의 목차와 본문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각 국가 지리교육의 공통점, 유사점, 차이점을 분석한다. 분석 방법은 지리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방법론을 설정한다. 또한 지리교과서의 구성 내용을 크게 지역지리학, 계통지리학, 방법론으로, 지역지리학은 다시 자국의 지리학과 자국 외 지역을 세계 대륙별로 나누어 분석한다. 계통지리학은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으로 나눈 후 세부항목으로 분류하여 이를 고찰한다. 그리고 각 국가별 지리교과서 내용과 연계된 각 국가의 여러 여건과 배경을 분석한다. 8개국 지리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지리교육의 공통점과 유사점, 그리고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공통점은 8개국별 지리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할 경우 본 연구에서 설정한 지리교육 내용 분석 방법인 지역지리학, 계통지리학, 방법론 등의 분류 분석 방법이 유효하다는 점이다. 지리교육 내용을 전개하는 데 있어 자연지리학이나 인문지리학의 주제를 중심으로 전반적으로 기술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그리고 인문지리학의 비율이 자연지리학의 비율에 비해 높았다. 유사점으로는 환경이나 재해 등 최근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주제를 중시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이러한 주제를 서술을 하는 데 있어 같은 주제라 하더라도 각 국가별로 세부적인 접근 방법에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차이점으로는 각 국가는 국가의 위치나 역사적 배경, 국가의 정치·사회적 상황, 혹은 사회변화 과정에 따라 각기 다른 배경과 원인이 작용하여 현재의 지리교과서 내용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독일의 경우 산업·경제 및 기후 부분이 강조되어 가장 큰 비중을 나타낸다. 프랑스의 경우에는 정치·사회 부분을 가장 비중 있게 다룬다. 영국은 자연환경 부분에서 특히 환경 변화에 따른 재해와 대책에 대해 강조한다. 미국은 문화·역사 부분이 특히 강조되는 특징을 보인다. 러시아는 인구 부분을 비중 있게 설명한다. 중국은 산업·경제 부분을 40%의 비중으로 특히 중요하게 반영한다. 일본은 인문지리학의 주제별로 전 세계 혹은 각 지역을 설명해 가는 특징을 보인다. 한국의 경우 근대 교육 이전 시점인 조선시대와 근대 교육의 태동기,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를 각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지리교육을 분석했다. 조선 시대에는 관찬지리지와 사찬지리지의 목차와 내용을 통해 당시 지리학의 위상을 확인했다. 개화기에는 『사민필지(士民必知)』의 목차와 내용을 통해 당시의 세계관을 살펴볼 수 있다. 일제강점기의 지리교과서는 일본인들의 이익에 부합하는 내용으로 편집되었다. 해방 직후에는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하는 데 기여하고 국가의 정책 변화에 따라 교육 내용이 달라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0년 이후 한국의 지리교과서는 서구의 지리학의 방법론을 토대로 목차가 구성이 되어있다. 또한 지리교육은 국토 정책을 정확히 알리는 데 유효한 분야임이 확인되었다. 세계 8개국 지리교육 내용을 분석·연구한 결과 지리교육의 실체를 제공하는 현재의 지리학은 국토 운영을 위해서 필요한 기본적인 학문일 뿐만 아니라 지역과 세계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필수적인 학문이라는 점이 인지된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