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Program has changed from teacher-centered to activity-centered education. The club activity, which is one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has been paid attention to because of its effect on character educa...
Recently,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Program has changed from teacher-centered to activity-centered education. The club activity, which is one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has been paid attention to because of its effect on character education and educational guidance. Thus, the attention on club activity is growing up. The inclusive club activity, which consis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eer students, helps peer students to have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break their stereotype. However, teacher-centered inclusive club activities have lack of clear objectives and active involvement of peer students. Moreover, teachers tend to avoid the club activity because of insufficient related research, which can increase their work burden.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ffects of inclusive club activity based on PBL(Problem-based Learning) in middle school on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disabilities of peer student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34 middle-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The Experiment group consists of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17 peer students in S middle school, named “We go together”, which is based on PBL. The controlled group consists of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11 peer students in J middle school, who have participated in a sign language club. The inclusive club activity based on PBL i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ossible activities that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 do with their peers. The students have participated in 12 activities: 4 sports activities, 4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nd 4 practical training activities. The inclusive club activity combined with PBL has 4 steps: ‘Academic Activity 1’ (Encountering Problem - Solving Problem), ‘Academic Activity 2’ (Researching - Finding Solution), ‘Practical Activity 1’ (Solving a Problem), and ‘Practical Activity 2’ (Presentation and Evaluation).
In this study, the pre and post tests were used to prove effectiveness of the inclusive club activity based on PBL, and ANCOVA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degree of changes of the peer students' awareness of disability and attitude towards it in the experiment and controlled groups, and the total score and the score of each subcategory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d compared the peer students’awareness of dis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t turned out that the disability awareness of the experiment group had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led group.
Second, it had compared the peer students’attitude towards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t turned out that the attitude of the experiment group had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led group.
Third, it had compar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 group shows positive change, especially with the factor related to satisfaction of friends and distress from other student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led group.
In this research, the inclusive club activity based on PBL provided the peer students with the chance to investigate disability by themselves and the teacher has remained just a guide and facilitato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eacher’s role in the general teacher-centered club activities. In the group discussion step of PBL,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had the chanc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heir interaction has not taken place only in the group discussion step. They could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whenever they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time of paradigm shift, where much more focus is on the human right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an just understanding of disability,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inclusive club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well as the awareness of disability and attitude towards it.
최근 장애이해교육은 교사 주도의 주입식 교육에서 체험활동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다. 체험활동 중심의 교육은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의 함양, 소질과 잠재력의 계발·신장을 목표로 ...
최근 장애이해교육은 교사 주도의 주입식 교육에서 체험활동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다. 체험활동 중심의 교육은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의 함양, 소질과 잠재력의 계발·신장을 목표로 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 중 동아리 활동은 인성교육과 생활지도 등의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동아리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장애학생과 또래학생이 함께하는 통합 동아리 활동은 또래학생들이 장애학생과 함께하면서 책임감이 생기고, 장애학생에 대한 고정관념이 깨지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통합 동아리를 담당하는 교사들은 또래학생의 목적의식과 능동적인 참여가 부족하다는 점과 담당 교사가 모든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다는 점, 그리고 관련 연구나 운영 모델 부족하다는 점에서 통합 동아리 활동 운영을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에 교사들의 통합 동아리 운영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학생들이 스스로 적극적으로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여 장애인식의 긍정적인 효과를 도모하는 통합 동아리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BL을 적용한 중학교 통합 동아리 활동이 또래학생들의 장애인식과 태도 및 지적장애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2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총 34명이다. 실험집단은 ‘함께하는 우리’라는 PBL을 적용한 중학교 통합 동아리 활동에 참여를 희망한 S 중학교 지적장애학생 3명과 또래학생 17명이다. 통제집단은 J중학교의 ‘수화반’통합 동아리 활동에 참여를 희망한 지적장애학생 3명과 또래학생 11명이다. 본 연구의 PBL을 적용한 중학교 통합 동아리 활동은‘장애학생과 함께할 수 있는 활동은 무엇이 있을까?’라는 문제 중심으로 4회기마다 동아리 활동 영역인 스포츠 활동, 문화예술 활동, 실습노작 활동이라는 주제를 제시하여 총 12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PBL의 5단계와 동아리 활동 영역이 접목된 PBL을 적용한 중학교 통합 동아리 활동 4단계는‘학술활동 1(문제 만나기 - 문제해결 계획하기)’, ‘학술활동 2(탐색 및 재탐색하기 - 해결책 고안하기)’, ‘실습활동 1(해결하기)’, ‘실습활동 2(발표 및 평가하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PBL을 적용한 중학교 통합 동아리 활동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또래학생의 장애인식과 태도에서의 변화 차이를 보기 위해 사전 장애인식과 태도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는 ANCOVA분석을, 지적장애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척도는 총점과 각 하위 영역 점수비교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적용한 중학교 통합 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교사 중심의 통합 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 간 또래학생들의 장애인식을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장애인식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PBL을 적용한 중학교 통합 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교사 중심의 통합 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 간 또래학생들의 장애태도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장애태도가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PBL을 적용한 중학교 통합 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교사 중심의 통합 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 간 지적장애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학교생활 만족도 중 친구 만족도 요인과 동료 괴롭힘 요인에서 통제집단보다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동아리 활동이 교사 중심이었던 것과 달리 교사가 안내자이자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또래학생 스스로 장애에 대한 탐색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PBL의 단계상 모둠별 협의가 필요한 경우가 있고, 이로 인해 동아리 활동 시간 외에도 지적장애학생과 또래학생이 자발적인 상호작용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장애이해 프로그램이라는 용어에서 장애인권 프로그램으로 장애인의 인권에 초점을 맞추는 패러다임 전환시기에서 본 연구는 또래학생의 장애인식과 태도 개선뿐만 아니라 지적장애학생의 친구 만족도와 동료 괴롭힘과 관련된 학교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