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e to improvements in longevity and declines in birth rates, population ageing is considered as a worldwide phenomenon and South Korea faced an ageing society since 2000 as well. The increase in older population not
only brings financial problems, b...
Due to improvements in longevity and declines in birth rates, population ageing is considered as a worldwide phenomenon and South Korea faced an ageing society since 2000 as well. The increase in older population not
only brings financial problems, but also serious social issues regarding older generations such as isolation and dementi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development of color play program for dementia prevention’ to help the situation and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it expects to aid seniors’ dementia.
First, by theoretically studying and researching ageing, dementia, existing studies and case investigations, the necessity of the study was discovered. In ad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lor play program, visited a specialized institution for seniors to collect survey data including age, sex, education, etc. and conducted a simple mental status test named ‘MMSE-DS’ in Korean version to check the current progress of dementia.
Also, carried a basic survey regarding ‘700 Color’, the tool that will be used for the color play program development. The selection of each program subject followed the classification categories of ‘MMSE-DS’, and based on this selection, the education plan for color play program was
devised. Then, ‘the color play program for dementia prevention’, which was created by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instituti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program was proved to bring meaningful effect for prevention of dementia; a simple dementia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periment to verify the result. The analysis of the result showed that out of ten participants, eight participants’ ‘MMSE-DS’ numerical value has increased and the average figure of all participants’
‘MMSE-DS’ rose from 26.2 to 28.3, showing the increase of 2.1.
Second, the color play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six categories of ‘MMSE-DS’, delivered a positive result on dementia prevention since it was able to increase and treat the participants’ ‘orientation’, ‘memory’, ‘attention concentration’, ‘language skills’, ‘performance ability’, and
‘composition of time and space ability’.
Third, the aforementioned tool ‘700 Color’, which was used for the color play program for dementia prevention, enabled seniors to become familiar with various color. This was effective for dementia prevention since it stimulated the participants’ brain activity by visual perception and the
color association with color chip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en female participants in their 80s, who scored over 20 on ‘MMSE-DS’ test. Therefore, its application to all seniors regardless of age is yet to be verified. Consequentl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olor play program for dementia prevention, an experimental study with different age groups and numbers and a study regarding dementia progress are required.
The color play program, which was created by this study, can be further developed by future studies following the six categories of ‘MMSE-DS.’ Also, the development method for the color play program mentioned in the research differs itself from existing art therapy since it was based on the categories of the Korean version of MMSE for Dementia Screening(MMSE-DS). Thus,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on the theme of color play and future art therapy studies regarding dementia.
전 세계적으로 평균수명의 증가와 저출산으로 인해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도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노인인구의 증가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낳고 있는데 경제적인...
전 세계적으로 평균수명의 증가와 저출산으로 인해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도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노인인구의 증가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낳고 있는데 경제적인 문제 외에도 노인소외문제와 치매는 대표적인 노인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요구에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치매예방을 위한 색채놀이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를 하여 시니어의 치매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고령화’, ‘치매’, ‘기존연구 및 사례조사’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색채놀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시니어 전문기관에 방문하여 나이, 성별, 학력 등이 포함된 시니어 기초설문 데이터를 수집하고, 치매 선별용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검사지인 ‘MMSE- DS’로 간단한 치매 진행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툴로써 사용될 ‘700 Color’에 대해 기초조사를 진행하였다. 색채놀이 프로그램의 주제 선정은 ‘MMSE-DS’를 기반으로 ‘MMSE-DS’ 문항의 항목별 분류에 따라 회차별 교육 주제를 선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색채놀이 프로그램의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였다. 그 후, 시니어 전문기관에 방문하여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치매예방을 위한 색채놀이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통한 치매예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전·후로 간이치매검사를 실시하고 그 값을 분석한 결과 10명의 실험대상자 중 총 8명의 ‘MMSE-DS’ 값이 향상되었고, 실험대상자 전체 ‘MMSE-DS’ 평균값은 사전 26.2점에서 사후 28.3점으로 2.1점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며 치매예방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음을 입증하였다. 둘째, ‘MMSE-DS’ 항목 분류에 따른 6가
지 범주 중심의 치매예방용 색채놀이 프로그램은 시니어의 ‘지남력’,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 능력’, ‘실행 능력’, ‘시공간구성 능력’을 집중적으로 키워줄 수 있었고 각 영역별로 골고루 다뤄줄 수 있어서 치매예방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셋째, 제시된 치매예방용 색채놀이 프로그램의 툴 ‘700 Color’는 색채에 대해 시니어들이 친숙해질 수 있도록 도왔으며 시지각을 통한 즉각적인 뇌의 반응 및 컬러칩을 통한 색의 연상 작용은 뇌를 자극할 수 있어서 치매예방에 효용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실험 대상을 ‘MMSE-DS’ 진단결과 20점 이상인 80대 여성 10명으로 선정하여 진행하였으므로 모든 연령대의 시니어에게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향후 치매예방을 위한 색채놀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연령대와 인원수를 보유한 조건에서의 실험적 연구와 치매의 단계별 치매예방효과를 고려한 치매예방용 색채놀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치매예방을 위한 색채놀이 프로그램은 ‘MMSE-DS’ 항목 분류에 따른 6가지 범주별로 추후 연구를 통해 계속해서 후속 교육 계획안을 개발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치매예방을 위한 색채놀이 프로그램 개발 방법은 기존의 미술치료 프로그램과 달리 치매 선별용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검사지(Korean Version of MMSE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의 항목 분류에 의해 수행되어 차후 치매관련 미술치료나 색채놀이의 테마를 확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