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functions of modality in Korean auxiliary verbs {내다}, and to intensively study and discuss the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The auxiliary verbs {내다} exists three psychological attitudes: "con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functions of modality in Korean auxiliary verbs {내다}, and to intensively study and discuss the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The auxiliary verbs {내다} exists three psychological attitudes: "consistency", "subject will" and "according with expectation". The three kind of psychological attitudes is in what ways of expression in the sentence can b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 Korean auxiliary verbs {내다} has five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 The five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 are resultant complement"住", "到", "掉",direction complement"出" and general verbs. resultant complement"住" exists three psychological attitudes: "consistency", "subject will" and "according with expectation". in the sentence, The three kind of psychological attitudes appear together. resultant complement"到", "掉",direction complement"出" and general verbs exist two psychological attitudes: "subject will" and "according with expectation". in the sentence, The two kind of psychological attitudes appear together. By making flexible use of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 we can conclude that the modality's feature of auxiliary verbs {내다} is when these three psychological attitudes are used in the sentence,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expression one is "consistency/subject will/according with expectation", the other one is "subject will/according with expectation".
본고는 한국어 보조동사 '내다'의 양태 의미를 연구하여 '내다'의 양태 의미적 특징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보조동사의 양태 의미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보조동사의 양태 의미...
본고는 한국어 보조동사 '내다'의 양태 의미를 연구하여 '내다'의 양태 의미적 특징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보조동사의 양태 의미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보조동사의 양태 의미가 실제 표현될 때는 어떤 형식으로 실현되는지 그리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보조동사의 양태 의미는 하나일 수도 있으며 몇 개의 양태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일 수도 있다. 하나 외에 몇 개의 양태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는 단어나 문장에서 어떠한 양태 의미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따라 본고는 한국어 보조동사 '내다'의 양태 의미를 분석하고 '내다'의 양태 의미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특징을 보조동사 '내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활용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어 보조동사 '내다'의 양태 의미적 특징의 경우는 한국어 문맥을 통하여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문맥만으로는 그의 양태 의미와 양태 의미적 특징을 연구하는 것에 어려운 점과 부족한 점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한국어 보조동사 '내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통하여 연구하기로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