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중심학습(PBL)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현대 의(衣)생활문화 교육 방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현재 한국교육 기관의 문화수업에서는 문화에 대한 방대한 양을 다 학습할 수 없기 때문에, 문화에 대한 교육을 심도있게 하지 못하고 단편적인 내용들만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

현재 한국어 교육 기관의 문화수업에서는 문화에 대한 방대한 양을 다 학습할 수 없기 때문에, 문화에 대한 교육을 심도있게 하지 못하고 단편적인 내용들만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의 독립적인 문화수업을 위해 현대 생활문화 교육을 지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문제중심학습(PBL) 모형활용현대 의(衣)생활문화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한국어 의(衣)생활문화 교육 방안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에 논의된 생활문화와 문화 교육, 문제중심학습(PBL)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생활문화 교육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이론적 근거인 생활문화와 의(衣)생활문화 교육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문제중심학습(PBL)의 기본 이론인 구성주의와 문제중심학습(PBL)의 정의‧과정‧문제‧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현대 의(衣)생활문화 교육에 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 교육기관의 3급과 4급의 한국어 학습자 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90% 이상의 학습자가 전통문화보다는 현대문화를 학습하기를 원하였으며 현대문화 중에서도 의식주문화를 가장 필요한 문화로 꼽았다. 또한 독립된 문화수업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수업이 구성된다면 교사 중심보다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으로 진행되기를 원하였다.
4장에서는 문제중심학습(PBL) 모형활용한 현대 의(衣)생활문화 수업을 구성하기 위해 5곳의 한국어 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재를 살펴보았으며 문화를 중심으로 구성된 한국문화 교재 11종도 함께 분석하였다. 교재의 분석 기준은 ‘의(衣)생활문화’와 관련된 주제와 단원을 중심으로 하였다.
5장에서는 Barrows & Myers(1994)가 제안한 문제중심학습(PBL)의 전개 과정과 학습단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재 및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의 의(衣)생활문화에 주목하여 한국어 문화 교육에서 학습해야 할 의(衣)생활문화의 내용을 초급, 중급, 고급으로 분류하고 ‘문제중심학습(PBL) 모형을 활용한 현대 의(衣)생활문화 수업 지도안’을 구성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된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보완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Korean education has proposed only fragmentary contents of culture rather than teaching it profoundly since a culture class in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cannot concentrate on a vast store of culture. This suggested an education plan for cont...

Korean education has proposed only fragmentary contents of culture rather than teaching it profoundly since a culture class in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cannot concentrate on a vast store of culture. This suggested an education plan for contemporary clothing-life-culture, as a part of independent culture classes for learners, by utilizing Problem Based Learning (PBL).

In chapter 1, the purpose, necessity and research method of Korean language life-culture were suggested, and previous researches are reviewed in connection with life culture, culture education, and PBL.

In chapter 2, life culture and clothing-life-culture education were studied as a theoretical basis to construct an education plan of life culture. Constructivism which is basic theory of PBL was examined closely along with the definition, process, problems, and teacher’s role of in the PBL.

In chapter 3, the survey of 73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intermediate level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contemporary clothing-life-culture. As the results of this survey, most students would like to learn comtemporary culture, especially focusing on food, clothing and shelter, more than traditional one. The survey also showed that students needed independent culture classes, which were preferred teacher-centered to learner-centered lessons.

In chapter 4,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used in Korean institutions of Kyung Hee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were reviewed to organize the contemporary clothing-life-culture classes by using the PBL model. Furthermore, eleven Korean culture textbooks were examined in the criteria of the chapters and subjects about clothing-life-culture.

In chapter 5, it was described the procedure and learning stages of PBL suggested by Barrows & Myers (1994). The contents of clothing-life-culture whi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Korean culture classes are classified in the level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materials and the survey. ‘the curriculum and syllabus of contemporary clothing-life-culture’ by utilizing PBL model was also composed.

In final chapter 6, the contents and result of this research was arranged and some supplements for the class of contemporary clothing-life-culture were suggested.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