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목적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최근 한국학습자 수의 증가와 함께 단순히 생활 한국어를 학습하는 수준에 머물지 않고, 자신이 속한 환경에 따라 구체적인 학습 목적을 가진 학습자가 크게 늘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

최근 한국어 학습자 수의 증가와 함께 단순히 생활 한국어를 학습하는 수준에 머물지 않고, 자신이 속한 환경에 따라 구체적인 학습 목적을 가진 학습자가 크게 늘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과 구별되는 특정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특정 목적 학습자의 하나인 ‘직업 목적 학습자’를 위한 연구로, 일본인 전문직 근로자의 직장 내 말하기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논의하고자 하는 연구 대상과 구체적인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현재까지 이루어진 성과를 살피고 이를 통해 본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특정 목적 언어 교육의 개념과 특성을 살피고, 요구 분석이 가지는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특정 목적 영어의 분류 방법을 참고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가 속하는 위치를 파악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유의미한 말하기 연습과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의 신장을 위해 ‘과제(task)’의 개념을 도입하기에 앞서 과제 중심 언어 교육의 이론을 통해 말하기 수업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직업 목적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의 설계를 위한 기초단계인 요구분석 내용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요구조사는 예비조사와 본 조사로 나누어 두 번에 걸쳐 진행하였는데, 먼저 실시한 예비조사에서는 학습 목적과 학습 실태를 파악하였고, 요구 및 선호도, 그리고 실제 업무에서 차지하는 말하기 기능의 비중과 말하기 학습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고의 주제와 직결되는 직업 목적 말하기 학습의 필요도에 대한 조사도 실시하였다.
이후 본 조사에서는 앞서 조사를 통해 분류된 직업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직장 내 인간관계 형성 및 유지’를 위해 필요한 실제 말하기 과제는 무엇이고, 어느 정도 필요성을 느끼는지 일정기간 기록하게 하여 실제 상황을 반영한 말하기 과제를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진행한 요구 조사의 결과를 반영하여 직업 목적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학습자가 기록한 말하기 상황을 통해 말하기 기능 및 과제를 선정하였고, 활용 가능한 말하기 활동과 일본인 직업 목적 학습자의 발화상 특징을 고려한 말하기 교육 내용을 덧붙였다.
5장에서는 4장의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 과정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점들을 논하였고, 과제 수행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덧붙였다.
마지막 6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밝히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Together with the present rise in learners of the Korea language, there has been a great increase in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do not only simply study practical Korean but also establish a specific learning purpose under their circumstance. This t...

Together with the present rise in learners of the Korea language, there has been a great increase in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do not only simply study practical Korean but also establish a specific learning purpose under their circumstance. This trend increased interests in 'Korean education for a specific purpose' distinguished with Korean education for general purposes and further studies on this education.
We studied 'a learner for occupational purpose', one of learners for a specific purpose.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 teaching methodology to improve Japanese professional workers' spea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in their workplace.
In Chapter 1, we specifi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suggested a specific method of the study as well as the object of it.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gave the direction of this study.
In Chapter 2, we examined an importance of needs assessment through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language education for specific purposes. Further, we investigated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for occupational purposes, based on a classification method of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We looked into a composition of speaking class based on task-oriented language education theories so that we can introduce a concept 'task' to facilitate learners' Korean speaking practice effectively and to improve language proficiency.
Chapter 3 suggested the contents and analytical results of the needs assessments, that is a base step to design a teaching methodology of Japanese learners' Korean speaking for occupational purposes. We divided the needs assessments into two: a preliminary assessment and a main one. First of all, in the preliminary assessment, we figured out the purpose and current state of the learners and looked into the followings: (1) needs and preference, (2) the importance of speaking competence in job performance, and (3) the necessity of speaking education. Also, we investigated the necessity of speaking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s closely related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n, in the main assessment, we adopted as objects the learners for occupational purposes who were categorized by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assessment. We requested the participants to record practical speaking tasks 'to form and maintain human relationship' and their extent of the necessity for a specific period. From the records, we derived the speaking tasks reflecting their work situations.
Chapter 4 proposed the teaching contents for Japa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for occupational purposes which reflected the results of the needs assessments. We chose the speaking skills and tasks based on the situations recorded by the learners. And we added applicable speaking activities and teaching contents considering the features of utterances of Japanese learners for occupational purposes.
In Chapter 5 we suggested a teaching methodology of Japanese learners for occupational purposes applicable to Korean classes, based on the discussions in Chapter 4. To do this, we discussed points of consideration for designing a curriculum and added a specific task-oriented teaching model to them.
Finally, Chapter 6 summarized the study, suggested a significance and limits of it and finished with a proposal for the future study.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