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에 나타난 텍스트적 담화표지 사용 양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들의 실제 담화 자료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담화표지, 그 중에서도 텍스트적 담화표지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

연구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들의 실제 담화 자료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담화표지, 그 중에서도 텍스트적 담화표지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 텍스트적 담화표지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25명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료 수집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4장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에 나타난 텍스트적 담화표지의 사용 양상, 즉 실현 형태, 실현 위치, 기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논의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고 제한점을 언급하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나타난 텍스트적 담화표지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구어 담화 교육에 다음과 같이 제안을 할 수 있다.
첫째, 형태적으로 봤을 때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정된 형태만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각 단계에 맞는 다양한 텍스트적 담화표지들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국인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사용하지 못한 ‘화제 시작’ 담화표지와 ‘화제 마무리’ 담화표지의 적절한 사용을 위해 화제 시작과 마무리에 들어갈 내용 분류들을 제시하고 이에 맞는 텍스트적 담화표지를 교육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연스러운 발화를 위해 모어 화자가 자주 사용하는 입말 변이형을 교육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넷째, ‘화제 연결’ 담화표지의 기본적인 의미 교육에서 벗어나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다양한 의미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세종말뭉치를 통해서 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텍스트적 담화표지 사용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그러니까’와 ‘그래 가지고’였는데, 중국인 학습자에게 모어 화자가 자주 사용하는 입말 변이형과 세부적인 의미 교육이 필요하다.
여섯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화제 전환’ 담화표지로 ‘그런데(근데)’외에 ‘그래서, 그러면’ 등의 다양한 표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에게 담화 차원의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학습자들이 텍스트적 담화표지를 정확하게 인지하여 적절한 기능으로 사용함으로 모어 화자와 비슷한 자연스러운 발화를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에 나타난 텍스트적 담화표지의 사용 양상을 분석한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담화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sing patterns of the discourse markers, particularly textual discourse markers which are found among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y analyzing the discourse data that the lear...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sing patterns of the discourse markers, particularly textual discourse markers which are found among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y analyzing the discourse data that the learners actually use. To that end, this study is composed as follows: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types of textual discourse markers were arrang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n chapter 3, the method of collecting and examining the learners materials of 25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as presented. In chapter 4, the patterns, specifically practices, realizing situations and functions of textual discourse markers that the learners use in speaking Korean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chapter 5, the conclus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oposals discussed in this study were mention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xtual discourse markers that are found among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following proposals can be made for the education of colloquial discourse of Korean language:
First, sinc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end to use only limited patterns repetitively in morphological perspective, more diverse patterns of textual discourse markers that meet each stage of learning need to be taught.
Second, in order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o use 'topic opening' discourse markers and 'topic closing' discourse markers more properly, the categories of contents that shall be included in 'topic opening' and 'topic closing' section will need to be presented, and the textual discourse markers that meet the categories shall be educated.
Third, in order to help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pronounce naturally, educating variant forms of spoken discourse that native Korean speakers use frequently is also a good method.
Fourth, beyond the education on basic meaning of the 'topic connecting' discourse markers, the education on various meanings that native Korean speakers use will be required.
Fifth, since the most conspicuous difference in the use of the textual discourse markers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in the perspective of Sejong corpus were ‘그러니까’ and ‘그래 가지고’, variant forms of spoken discourse that native Korean speakers frequently use and detailed meaning thereof will need to be taught to Chinese learners of Korean.
Sixth, Chinese learners of Korean need to be taught how to use various markers like ‘그래서’ and ‘그러면’ in addition to ‘그런데(근데)’.
In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the education of discourse markers based on the proposal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significantly help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pronounce naturally in a way similar to native Korean speakers by recognizing and using textual discourse markers more accurately.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using patterns of textual discourse which are found among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ill be instrumental in preparing basic data for education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discourse.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