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재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구어 담화표지 교육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담화표지를 학습할 수 있도록 ESA 교수 모형을 통한 담화표지 교수 방안 제시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기술하고 ...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담화표지를 학습할 수 있도록 ESA 교수 모형을 통한 담화표지 교수 방안 제시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기술하고 말하기 및 듣기와 관련된 담화표지와 담화표지 교수 방안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담화표지의 개념과 특징, 기능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담화표지 교육 실태를 현행 한국어 교재를 통해 교수 지침 측면, 학습자 측면, 교수 모형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새로운 교수 모형인 ESA 교수 모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ESA 교수 모형은 학습자의 숙달도, 학습자 요구, 수업 환경 등 수업 성격에 따라 각 단계를 자유롭게 반복하거나 바꿀 수 있다. 또 수업 시간에 학습자들의 참여 및 학습자간 의사소통 활동을 장려하여 실제 담화 상황에서 담화표지를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표지 학습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3장에서는 주요 대학교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 말하기와 듣기 텍스트에 나타구어 담화표지의 종류, 각 담화표지의 제시 양상과 연습 및 활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살펴본 결과, 한국어 교재 말하기 및 듣기 텍스트에 실현된 담화표지의 사용 빈도 및 종류는 실제 담화와는 차이가 있었다. 매우 제한적인 종류와 기능만이 사용되었고, 담화표지가 사용된 담화 상황과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설명 및 예시가 제대로 나타나 있지 않았다.
4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빈도수가 높은 담화표지에 대한 교육 내용을 정리하고, ESA 교수 모형을 적용하여 실제 교안을 제시했다.
마지막 5장에서는 결론으로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담화표지 교육을 위해 기존의 PPP 교수 모형이나 TTT 교수 모형이 아닌 학습자의 숙달도, 학습자 요구, 수업 환경 등 수업 성격에 따라 각 단계를 자유롭게 반복하거나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새로운 ESA 교수 모형을 적용하여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ESA Teaching Procedure Model to help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the use of Korean discourse markers more successfully. For this purpose, the first chapter discovers the purpose of this s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ESA Teaching Procedure Model to help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the use of Korean discourse markers more successfully.
For this purpose, the first chapter disco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investigates the existing studies on Korean discourse markers using in speaking and listening and teaching methods of Korean discourse markers.
The Second Chapter, shows the definition, functions, and distinctive features of discourse markers firstly. Then it analyses the current teaching methods in the view of teaching guidance, learners, and teaching models, and especially focuses on ESA teaching procedure model, which is a brand new teaching model. ESA teaching model is very adjustable since i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their nee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lso, this model is more effective since it calls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ll class members and encourages learner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class, as such the learners are able to use discourse markers in appropriate ways in real life situations.
In addition to the teaching theories, this s look into examples of discourse markers used in the listening and speaking textbooks of some well-known university Korean language institutes, the ways of representing the discourse markers in the books, and how the learners practice or use the words in their daily lives. As a result of thi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discourse markers used in real-life situations and in the textbooks in every respect: phrases and frequency. Not only the textbooks restrict meanings and roles of discourse markers, but it also does not have any specific explanation nor example sentences of the discourse markers.
The fourth Chapter, the samples of discourse markers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extracted from the books, and then a new curriculum is suggested based on ESA teaching procedure model.
As a conclusion, the last Chapter restates and summarizes briefly main points as well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is study.
It is very significant for this study to suggest a new teaching plan not based on the conventional models like PPP teaching procedure model or TTT teaching procedure model but based on ESA teaching procedure model which can be changed depending on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their nee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