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시대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교육 : 교육용 한자 선정과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instructional Chinese characters to improve Korean vocabularies of foreign learners and to develop Chinese Character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Foreign learners who learn Korean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instructional Chinese characters to
improve Korean vocabularies of foreign learners and to develop Chinese
Character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Foreign learners who learn Korean language in Korea are increasing
continuously. With the raid increase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because of
marriage, study and business for last several years, Korea came to be a
multi-cultural era. Accordingly, Korean language should be taught to those
foreign residents, and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taught together to improv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It is because more than 60% of Korean vocabulary
is made up of Chinese characters. Furthermore, Chinese characters have excellent
coinage power so that they can help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vocabularie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for the foreign learners, it has rarely been in place in actual
education. There are few Chinese character teaching materials for this purpose.
The biggest difficulty that the foreign learners have when they learn Korean is th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Therefore they need to resolve
the problem by studying Chinese characters. For this, Chinese character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and the corresponding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n Chapter Ⅱ,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Institutes attached to Universities was reviewed. Four kinds of teaching
materials used in Chinese Character Classes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among
newly published ones were analyzed and strengths and weaknesses were
identified.
In Chapter Ⅲ, the examples of Chinese characters selected for Korean
education were reviewed,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t and a list of Chinese
characters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set criteria. First of all, beginner and
intermediate vocabulary characters were abstracted from ‘Vocabularies for Korean
Learning’(Cho Nam Ho,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Korean
Competency Test Vocabulary List’(Kim Jung Seob,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n compared with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Kim Sang Hong, Ministry of Education), ‘The Frequency of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Life’(Heo Cheol) and ‘The Frequency
of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Min Hyun
Sik). From the process, 1,336 characters were selected for the education of
foreign learners, and they were classified in 4 stages according to coinage power
and the frequency of use.
In Chapter Ⅳ, seven directions to compose Chinese character teaching
materials were proposed, the content in each stage was summarized and actual
Chinese character teaching materials were composed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s are the teaching materials composition directions. First, we need to
consider the subjects of the study. Second, we need to set the amount of the
study and the system considering the level of each stage. Third, we need to
focus the reading training. Fourth, learning should be comprehended for Chinese character’s radical and principle. Fifth, we need to include the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idiom. Sixth, we need to diversify the learning methods so
that the learners can concentrate on the study with interest. Seventh, learning
should be checked through evaluation.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List of Chinese Characters selected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t is hoped that this list and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direction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when Chinese character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era are
developed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외국인의 한국어 어휘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한자선정하고, 이를 적용한 한국교육한자 교재개발 방안을 살펴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한국어를 배우...

이 연구는 외국인의 한국어 어휘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용 한자를 선정하고, 이를 적용한 한국어 교육용 한자 교재개발 방안을 살펴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 몇 년간 결혼, 유학, 사업 등의 이유로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크게 증가하여 완연히 다문화 시대로 접어들었다. 따라서 이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효과를 높이려면 한자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이는 한국어 어휘의 60% 이상이 한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어력이 뛰어나 어휘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자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밝힌 연구가 꾸준히 이어져오고 있지만,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자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한국어 교재에 비해 한자 교재 개발도 매우 적은 편이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가장 어렵게 느끼는 것 중의 하나가 한국어의 이해이므로, 한자 학습을 통해 한국어 어휘 부족 현상을 해소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어 교육용 한자 목록 선정과 한자 교재 개발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이에 Ⅱ장에서는 대학 내 한국어 교육 기관을 대상으로 한자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에 발행된 한자 교재 중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한자반에서 사용하고 있는 4종의 교재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장‧단점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용 한자 선정 사례를 살펴본 후 한국어 교육용 한자의 선정 기준을 정하고 선정 과정에 따라 한자 목록을 선정하였다. 먼저 ‘한국어 학습용 어휘’(조남호 외, 국립국어연구원)와 ‘한국어능력시험’ 초‧중급 어휘 목록(김중섭 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한자어 중에서 한자를 추출한 후,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교육부), ‘한국의 언어생활에서의 한자 사용 빈도’(허철), ‘한국어 회화 교재 한자어의 조어력 순위별 목록’(강현화 외)및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분석’의 한자 빈도(민현식 외, 국립국어연구원)와 비교하였다. 이 과정을 거쳐 외국인을 위한 교육용 한자 1,336자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조어력과 사용 빈도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한자 교재의 개발 방향을 일곱 가지로 제시하고 각 단계별 한자 교재 내용을 정리한 후, 이를 근거로 제작될 수 있는 한자 교재를 구성해 보았다. 한자 교재 개발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대상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단계별 수준을 고려해서 학습 분량과 체계를 세워야 한다. 셋째, 학습 영역은 읽기 교육에 중점을 둔다. 넷째, 한자의 자원과 부수에 대한 학습이 병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한자성어에 대한 학습 내용이 포함되도록 한다. 여섯째, 학습 방법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일곱째, 학습한 내용은 반드시 적절한 방법으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교육용으로 선정한 단계별 한자 목록과 한자 교재 개발 방안이 향후 다문화 시대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될 한자 교재를 개발하는데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